본문 바로가기

철학2

플라톤적 동성애 동성애는 로마시대에는 일정하게 제한되고 기독교시대에는 소돔과 고모라라는 저주받은 형식으로 극단적으로 부정된다. 그러나 그리스 시대에는 성인남자의 의미있는 삶의 양식으로 본다. 플라톤의 에서 그의 연애술은 그리스문화에서 남성-소년관계에 따르는 난점, 즉 쾌락대상이 지닌 난점을 '사랑받는 개인의 문제를 사랑 자체의 본질을 바꿈'으로써 이 난점을 해결한다. 바로 사랑관계를 진리관계로 바꾸는 것이다. 남성은 현자로 바뀌고 소년은 참된 지배자를 사랑하는 이가 된다. 명예로운 사랑의 실천에서 뭐가 문제가 되겠는가! 이들의 관계는 현자가 소년에게 참된 지혜를 가르치며 발전한다. 재밋는 것은 여기서 지식전달이 결고 육체와 무관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치 외국어를 배우려면 제일 빠른 방법이 이성을 만나 침.. 2013. 3. 21.
니체의 '비극의 탄생' 간단히 이해하기 영화나 소설 평론을 읽다보면 디오니소스적인 것, 아폴론적인 것이라는 용어가 종종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읽는 나도 그것들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고, 과연 사용하는 사람들은 과연 그 사용법이 모두 통일된 것인지 궁금하다. 이 둘은 '비극의 탄생'에서 니체가 그리스 비극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메타포적 단어이다(시작은 아닐지라도). '비극의 탄생'을 아주 간략하게 읽어보고, 이 둘의 의미와 니체 초기철학을 알아보자. 이해를 돕기 위해 결론부터 알아보면, 니체가 이 책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이렇다. '그리스 문화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에서 시작해 바그너의 음악극에 대한 지지로 끝낸다.'다시 말하면'쇼펜하우어 철학의 세계관에 입각해 그리스 비극의 본질을 해명하고, 이어 바그너 예술을 그리스 비.. 2013. 3. 7.